본문 바로가기

주식

제약 바이오 관련주 8종목

  제약 바이오 관련주는 JW중외제약, 부광약품, 비보존제약, 신풍제약, SK바이오팜, 유한양행, 알피바이오, 삼성제약입니다. 오늘은 제약 바이오 관련주 8종목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을 읽고 난 후 관련주에 대해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제약 바이오 관련주가 상승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이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023년 하반기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빅파마의 M&A는 산업 내에서 업종 반등을 이끄는 내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2024년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언급. M&A는 도래할 특허 절벽과 IRA 법안으로 인한 수익성 저하에 대한 빅파마의 대응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빅파마의 외부 R&D 투자는 플랫폼 기술 및 파이프라인 도입 또는 파트너십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들도 수혜의 대상이 된다고 언급. 지금까지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의 R&D 성과는 빅파마향 기술 수출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아직까지도 주요한 사업 모델이라고 밝히면서 관련 종목들이 테마를 형성하며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제약 바이오 관련주는 어떤 종목이 있나요?

1. JW중외제약

 

  - 의약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며 치료제 중심으로 병원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리바로, 트루패스, 시그마트, 악템라 등 강력한 오리지널 파이프라인, 세계 5대 수액제 브랜드로 오메가3와 오메가6를 이상적으로 배합한 3세대 3챔버 영양수액 위너프 등을 보유. 피타바스타틴과 에제티미브를 결합한 2제 복합신약을 국내 최초로 품목허가를 받았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7% 증가, 영업이익은 95.5% 증가, 당기순이익은 36.1% 감소. 핵심품목인 리바로 등의 집중육성 및 신규시장개척을 통하여 매출이 증가하였으며 효율적인 비용관리를 통해 영업이익 큰 폭으로 증가함. 통풍치료제, 아토피치료제 등 후보신약 신제품의 개발로 시장 확대를 목표로 하며, 수익성 높은 제품의 집중적인 육성을 통해 지속적인 매출 증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2. 부광약품

 

  - 1960년 설립된 의약품, 의약외품 제조업 및 판매업과 연구개발 등 생명공학 관련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로 1988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주요 제품으로는 레가론, 치옥타시드, 훼로바, 덱시드, 씬지로이드, 아프로벨, 오르필, 액시마, 헥사메딘, 등이 있음. 동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매출형태별로는 제품매출, 상품매출, 수출/기타 매출이 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 감소, 영업손실은 462.2% 증가, 당기순손실은 534.7% 증가. 신약개발에 투자해야하는 업종 특성상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이 25.29%에 이르고 이에 적자가 누적되고 있음. 2023년 신경퇴행성 질환치료제 개발 이스라엘 회사인 ProteKt Therapeutics Ltd를 인수하였음. 면역항암제 개발 합작법인 ‘재규어테라퓨틱스’에 추가 출자했음.

 

 

3. 비보존제약

 

  - 혁신 신약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주력 품목으로는  순환기계용약 피부외용제, 해열진통소염제, 당뇨병치료제가 있음. 동사는 사업 영역 확장으로 인하여 신약 개발, 의약품의 제조ㆍ판매, 화장품의 제조ㆍ판매, 전자제품ㆍ전자부품의 제조ㆍ도소매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매출 구성은 제약사업부 약 98.96%, 화장품사업부 약 1.04%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91.2% 감소. 동사의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전문의약품(ETC)의 경우 호흡기 환자 지속 증가에 따라 관련 품목이 꾸준하게 성장함. 동사의 제이비카정(고혈압), 콜린세레이트정(뇌기능 개선제) 등 만성질환 치료제와 함께 다파로진정(당뇨) 등 신제품 성장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음.

 

 

4. 신풍제약

 

  - 1962년 6월 5일 의약품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1990년 1월 20일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됨. 동사의 주요 목적사업은 완제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임. 동사는 글로벌 신약개발, 개량신약 및 퍼스트제네릭 출시로 향후 매출 증가를 꾀하는동시에 수익성 높은 품목의 집중 육성을 통해 수익성을 제고하여 경쟁이 치열한 국내제약시장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매진하고 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1% 증가, 영업손실은 32.2% 증가, 당기순손실은 31% 증가. 당분기 영업손익은 연구비가 전기 대비 약 48.5% 증가 (약 94억원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판매비와 일반관리비가 약 16% 상승하여 영업손실이 확대됨. 동사의 코로나19 경구 치료제 ‘피라맥스’의 임상 3상이 결국 실패하며, 또 다른 활로로 신규 파이프라인 강화를 모색하고 있지만 녹록지 않을 전망임

 

 

5. SK바이오팜

 

  - 신약개발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세노바메이트 및 솔리암페톨의 성공적인 신약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뇌질환 및 수면질환 관련 신규 물질 발굴을 진행 중. CNS 질환의 약물 개발뿐만 아니라, 항암 분야에서 유효 물질을 발굴하고 개발하기 위해 연구에 매진함. 동사는 1993년, SK그룹의 차세대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신약 연구 개발을 시작함.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4% 증가, 영업손실은 39.5% 감소, 당기순손실은 58.5% 감소. 동사가 자체 개발한 뇌전증 치료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 5대 경제대국’에서 모두 출시하는데 성공하여 매출 성장이 기대됨. 신약 매출로 매출총이익률이 높고, 고정비(인건비, 연구개발비)가 높은 수익 구조로 흑자 전환 이후 빠른 실적 성장이 기대됨.

 

 

6. 유한양행

 

  - 1926년 6월에 설립되었으며 의약품, 화학약품, 공업약품, 수의약품, 생활용품 등의 제조 및 매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음. 동사의 주요 사업부문은 약품사업부문, 생활건강사업부문, 해외사업부문으로 이루어짐. 의약품사업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렉라자, 안티푸라민, 삐콤씨, 듀오웰, 코푸시럽 등이 있고 이외에도 에이즈치료제, C형간염치료제, 항생제 등을 수출사업에서 다루고 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 증가, 영업이익은 174.6% 증가, 당기순이익은 12.2% 감소. 해외사업부문 매출이 625억, 유한양행 처방약 매출이 433억 증가하였고, 효율적 비용 집행에 따라 영업이익 크게 증가함. 2023년 6월에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신약 '렉라자'를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식약처의 국내 품목허가 변경 승인을 받았음.

 

 

7. 알피바이오

 

  -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을 연질캡슐 외 다양한 제형으로 생산, 제조하여 OEM 또는 ODM방식으로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연질캡슐 생산업체 중 국내 최초로 KGMP 적격시설로 인정받았으며, 일반의약품 연질캡슐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음.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오메가3 제품을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연질 캡슐,경질캡슐, 젤리스틱, 분말스틱 등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0.7% 증가, 영업이익은 21.5% 감소, 당기순이익은 23.4% 감소. 마도신공장 증축으로 CAPA 확장하여 기존 생산량 대비 70% 증가된 월간 1.7억 캡슐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되었음. 개발중인 다이어트 기능성소재가 개별인정형 원료로 인증받을 것으로 기대하며 추가로 4가지 새로운 소재출시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중임.

 

 

8. 삼성제약

 

  -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 바이오사업, 건강식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음.의약품과 건강식품을 생산하는 제약회사 주요제품으로는 까스명수, 쓸기담, 우황청심원현탁액, 판토에이등이 있으며, 노인성 질환 전문의약품 강화를 목적으로 신제품 발매 및 허가를 진행하고 있음. 전문의약품의 경우 항생제. 전립선치료제 등 80여개의 다양한 제품군을 바탕으로 판매대행을 활용한 마케팅 및 영업활동을 진행함.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9% 증가, 영업손실은 45% 증가, 당기순손실은 9.3% 감소. 매출은 증가하였지만 지급수수료가 전년동기대비 27.3억 증가한 250억 집행되었고 연구개발비가 전년동기대비 479% 증가한 17.5억 집행됨에 따라 영업손실은 증가함. GV1001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서 2023년 6월 3상 임상시험 변경승인을 완료하고 임상시험을 준비중임.

 

 

제약 바이오 대장주는 무엇인가요?

2월 20일 기준으로 가장 많이 상승한 제약 바이오 대장주는 JW중외제약입니다. 가장 상승한 종목 이외에도 관련 종목들이 상승과 하락을 번갈아가면서 시세를 내기 때문에 주가의 움직임을 살펴보고 대응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단기적 이격이 많이 발생하거나 급격하게 상승한 종목은 하락의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요약 및 정리

  • 1. 제약 바이오 관련주: JW중외제약, 부광약품, 비보존제약, 신풍제약, SK바이오팜, 유한양행, 알피바이오, 삼성제약
  • 2. 제약 바이오 대장주: 2월 20일 기준 대장주는 JW중외제약
  • 3. 상승 이유: 글로벌 빅파마 M&A 기대감 등에 상승

 

 

테마 종목 모음

 

반도체 장비 관련주 8종목

반도체 장비 관련주는 인텍플러스, 오로스테크놀로지, 디아이, 유진테크, 에프에스티, 프로텍, 피에스케이홀딩스, 에스티아이입니다. 오늘은 반도체 장비 관련주 8종목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

moneytalk114.com

 

네이버 치지직 관련주 8종목

네이버 치지직 관련주는 엔비티, 와이즈버즈, 레뷰코퍼레이션, FSN, 나스미디어, 모비데이즈, 플레이디, 드림인사이트입니다. 오늘은 네이버 치지직 관련주 TOP 8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moneytalk114.com

 

초전도체 관련주 8종목

초전도체 관련주는 신성델타테크, 서남, 덕성, 파워로직스, 씨씨에스, 모비스, 고려제강, 비츠로테크입니다. 오늘은 초전도체 관련주 TOP 8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

moneytalk114.com

 

 

  지금까지 제약 바이오 관련주 대장주 8종목 정리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본 포스팅은 매수 추천 및 투자 권유가 아닌 참고용으로 작성된 자료임을 말씀드리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수익을 유혹하는 투자에는 고위험이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고 현명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제약 바이오 관련주 8종목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진료 관련주 7종목  (31) 2024.02.23
뉴로모픽 반도체 관련주 5종목  (31) 2024.02.23
반도체 장비 관련주 8종목  (31) 2024.02.21
네이버 치지직 관련주 8종목  (0) 2024.02.21
초전도체 관련주 8종목  (1) 2024.02.21